이번엔 AVERAGEIF와 AVERAGEIFS에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COUNTIF(s)와 SUMIF(s)와 동일합니다.
말그대로 average(평균)if(조건부)를구하는식입니다.
평균얼마나많은금액을, 얼마나많은시간을, 얼마만큼의행위를하였는지 알아볼수있습니다.
예제는 위와같습니다.
길동이,꺽정이,돌쇠,영희,철수네 가게에 양파,감자,오이의채소의 가격을 Raw데이터로 두었습니다.
=averageif(a:a,e2,c:c)는, 다음과같습니다.
=averageif(찾을값의참조데이터,찾을값,평균을구할값)
즉, 찾을값인길동이네(e2)의 참조데이터(a:a)그리고 찾을값인 길동이네(e2)
마지막으로, 평균을구할값(c:c)를 기재하면, 길동이네평균채소가격을 알수있습니다.
~if와 ~ifs의 차이는 1개조건인지, n개조건인지를 뜻합니다.
길동이네평균 오이가격은, a12:c16의 브이룩업으로 충분히가능합니다.
다만, 날짜별 오이가격이 다르다는 전제하에 평균가격을 알아보기위해서는
averageif(s)를 사용해야합니다.
위처럼 길동이네 평균오이가격은,
=averageifs(c:c,a:a,e2,b:b,"오이")로 표현하였습니다.
if와 ifs의 큰차이는 몇개조건인지도 중요하지만,
순서가 다릅니다.
if는 참조값,찾을값,계산값
ifs는 계산값,참조값1,찾을값1,참조값2,찾을값2~로 나타내게됩니다.
위와같이 1개조건을가지고도 ifs를 사용할수있습니다.
averageif와 averageifs를 잘 활용해주시면 더욱 수월한 작업이될수있습니다.
이상입니다.